DongSup
dev's gait
DongSup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71)
    • flask (13)
    • iOS (11)
    • python (22)
    • CS (21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한걸음
  • 파이썬
  • 첫글
  • 언어공부
  • Swift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DongSup

dev's gait

TCP vs UDP
CS

TCP vs UDP

2022. 11. 6. 16:16

 

 

 

 

TCP

 

 

 

전송 제어 프로토콜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

 

  • 네트워크 계층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
  •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메세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 
  • 일반적으로 TCP와 IP는 함께 사용되며 IP는 배달을, TCP는 패킷의 추적 및 관리
  • TCP는 장치들 사이에 논리적인 접속을 성립하기 위하여 연결을 설정하여 연속성보다는 신뢰성을 보장하는 연결형 서비스 
  • 신뢰적인 전송을 보장하기에 hanshaking하고 데이터의 흐름제어와 혼잡제어를 수행
  • 3-way handshaking과정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고 4-way handshaking을 통해 해제한다. ( 참고링크 - Handshake )
  • 전이중(Full-Duplex), 점대점(Point to Point) 방식
    • 전이중 - 전송이 양방향으로 동시에 일어날 수 있다.
    • 점대점 - 각 연결이 정확히 2개의 종단점을 가지고 있다.

 

 


 

 

UDP

 

 

 

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(User Datagram Protocol)

 

    • 데이터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 (데이터그램이란 독립적인 관계를 지니는 패킷)
    • 비연결형 프로토콜이다. 
    • 데이터 전달 및 순서가 보장되지 않지만, 단순하고 빠름
    • 할당되는 논리적인 경로가 없음 / 각각의 패킷은 독립적인 관계 / 데이터를 서로 다른 경로로 독립 처리
    •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과정이 존재하지 않는다.
    • 연속성이 중요한 실시간 서비스에 좋음

 

 


 

 

 

 


 

공통점

 

 

 


 

차이점

 

 

 


 

Reference Path

 

 

[네트워크] TCP/UDP와 3 -Way Handshake & 4 -Way Handshake

TCP / UDP / 3-Way Handshake / 4-Way Handshake

velog.io

 

 

 

TCP 와 UDP 차이를 자세히 알아보자

TCP와 UDP는 TCP/IP의 전송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. 전송계층은 IP에 의해 전달되는 패킷의 오류를 검사하고 재전송 요구 등의 제어를 담당하는 계층이다.

velog.io

 


'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GET과 POST 방식  (0) 2022.11.13
대칭키와 비대칭키(공개키)  (0) 2022.11.13
HTTP와 HTTPS  (0) 2022.11.13
TCP의 3/4 way Handshake  (0) 2022.11.06
OSI 7계층  (0) 2022.11.06
    '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대칭키와 비대칭키(공개키)
    • HTTP와 HTTPS
    • TCP의 3/4 way Handshake
    • OSI 7계층
    DongSup
    DongSup

    티스토리툴바